선문화건강정보 | 오장 심화 편 (7) - 폐肺의 구조와 기능
[이제는 삼랑선 문명 시대]
〈선 문화 건강정보〉는 STB 동방신선학교 커리큘럼 중 심신 건강 및 삼랑선三郞仙 문화에 관련된 내용을 게재하는 기사입니다. 인체의 구성과 운용 및 수행 문화 등에 관련된 정보들이 선仙 문화의 이해와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편집자 주註]
오장 심화 편 (7)
폐肺의 구조와 기능
STB동방신선학교 199회 상생라이프



호흡과 폐

그런데 고대 그리스어에서 숨, 호흡을 뜻하는 뉴마pneuma라는 단어는 보이지 않는 정신, 영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요, 라틴어에서의 숨, 호흡을 뜻하는 스피리투스spiritus라는 단어 역시 정신과 영혼이라는 뜻을 같이 가지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도 호흡을 통해 하늘의 기운 즉 천기天氣를 받고, 음식을 통해 땅의 기운, 지기地氣를 받는다고 하죠. 이렇게 호흡은 우리의 정신과 육체의 활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폐의 구조와 생김새
그럼 먼저 폐의 해부학적인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폐는 몸의 횡격막 위에서부터 쇄골에 이르는 가슴 부위 갈비뼈 안쪽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위치해 있습니다. 정면에서 바라보면 폭이 넓고 깊이는 얕은 납작한 모양으로 생각될 수 있는데요. 실제로는 폭보다 깊이가 깊은 형태입니다.
폐는 좌우에 한 개씩 두 개의 폐가 존재하고 있으며, 왼쪽의 좌폐左肺는 상엽과 하엽의 두 공간으로 나뉘어 있고 우폐右肺는 상엽 중엽 하엽의 세 공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심장이 왼쪽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좌폐보다는 우폐의 크기가 약간 더 큽니다.


우리가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쉬는 호흡 운동은 폐가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폐를 둘러싼 근육의 움직임에 의해 이루어지는데요. 주로는 횡격막 근육과 갈비뼈 주위에 있는 근육들이 움직이면서 폐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 주머니인 흉막을 늘였다 줄였다 하면서 폐 속의 공기를 순환시킵니다.


기를 주관한다
이제 한의학에서의 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의학에서는 폐를 설명할 때 먼저 폐주기肺主氣라 하여 폐가 우리 몸에 흐르는 기氣를 주관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기氣란 무엇일까요? 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주 만물을 구성하는 유형적인 혹은 무형적인 에너지를 말하는데요. 우리 몸의 모든 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도 기에서 왔고 이 세포들이 움직여 생명 활동을 하는 것도 모두 기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는 혈을 따라 온몸을 순환하고 있는데요, 지난 시간에 우리가 음식을 통해 받은 지기를 비장이 폐로 올려 보내 주면, 폐가 호흡을 통해 받은 천기와 합쳐져 종기宗氣가 만들어진다고 하였습니다. 이 종기가 우리 몸속 모든 기의 바탕이 되는 기로서 폐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폐가 기를 주관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죠.
숙강肅降작용
또 한의학에서 폐는 선발宣發과 숙강肅降작용을 한다고 하였습니다. 먼저 숙강 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숙肅은 엄숙하다는 뜻이고, 강降은 아래로 내린다는 뜻입니다. 이는 폐가 오행 중 금金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오행 중 금은 감싸고 하강시키는 기운이죠. 따라서 분열하는 화火의 기운을 금화교역의 작용을 통해 감싸면서 하강시켜 수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해부학적으로도 폐는 화火의 장기인 심장心臟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고, 육부 중 폐와 짝이 되어 금의 성질을 가진 장부인 대장大腸도 화의 기운을 가진 소장小腸을 둘러싼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폐는 심장이나 간의 기운이 머리로 올라가는 것을 막아 주는 덮개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폐가 약해지면 머리나 얼굴에 열이 올라 머리가 아프거나 얼굴이 붉어지고 화끈거리는 증상이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선발宣發 작용

근데 퍼뜨리는 것은 목이나 화의 성질인데 금의 장부인 폐가 선발 작용을 하는 것은 어떤 원리일까요? 그것은 금金과 목木의 대화작용 때문인데요. 금과 목은 오행의 방위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여 금은 금극목金克木의 원리에 의해 목의 상승 작용을 제어하면서 도와주고, 동시에 목도 금에 영향을 미쳐 금의 성질이 너무 딱딱해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폐는 금의 장부이지만 실제 폐는 스펀지처럼 말랑말랑하죠. 폐가 딱딱해지는 것을 폐 섬유화라고 하는데 폐 섬유증肺纖維症은 발병하여 진행되면 5년 생존율이 40% 미만으로 위험한 질환이라고 합니다.
수분대사를 조절한다

또한 폐는 통조수도通調水道라 하여 우리 몸의 수분대사水分代謝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우리가 추운 날 소변이 자주 마려운 것은 폐가 찬 기운에 대응하여 땀구멍을 닫아 피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고 수분을 아래쪽의 방광으로 흐르게 하기 때문입니다.
심장을 보좌한다
마지막으로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 폐는 상전지관相傳之官 치절출언治節出焉이라고 하였습니다. 즉 국무총리가 대통령을 보좌하여 나라를 다스리는 실무를 맡아보는 것처럼 폐는 군주의 장기인 심장心臟을 보좌하여 전신의 기혈氣血이 올바로 순환될 수 있도록 다스린다는 것입니다.
폐는 심장을 둘러싸고 있으며 폐동맥, 폐정맥이 각각 우심실, 좌심방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폐와 심장은 마치 한 몸처럼 움직이면서 전신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심장은 스스로의 전기 신호와 자율신경계의 신호를 받기 때문에 운동이나 심리 상태에 따라 심장의 운동이 달라질 뿐 우리의 의지로 심장박동을 조절하기는 힘듭니다. 그런데 심장과 폐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동시에 활동하고 있고요, 폐의 운동, 즉 호흡은 우리의 의지로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호흡 운동을 조절함으로써 심장의 박동도 간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죠. 실제로 호흡을 빨리하게 되면 점차 심장도 빨리 뛰고, 호흡을 느리게 하면 심장도 느리게 뛰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우리가 숨을 규칙적이고 약간 길게 쉬는 것을 조식調息이라고 하는데요. 이 조식을 하게 되면 심장이 느리지만 힘 있게 박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조식을 생활화하게 되면 폐와 심장이 건강해지고 자율신경계가 항진亢進되어 심장이 빨리 뛰면서 생기는 증상인 긴장, 불안감, 불면증 등을 완화시키는 데도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의 기를 주관하는 장부인 폐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폐의 건강을 지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