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성공>11회, 우주의 가을이 오고 있다
[STB하이라이트]
※ 〈STB다시보기〉는 상생방송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지난 프로그램과 회차는 《한문화중심채널 STB 상생방송》 공식 홈페이지(www.stb.co.kr)에서 무료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우주의 가을이 오고 있다
〈천지성공〉11회
Ⅰ. 우주의 사계절과 인간 농사
Ⅱ. 선천과 후천: 상극에서 상생으로
Ⅲ. 가을개벽으로 열리는 새 세상
자, 인간과 자연이 걸어가는 변화의 법칙이 무엇인가?
주제 성구를 함께 읽어 보겠습니다.
내가 천지를 주재하여 다스리되 생장염장生長斂藏의 이치를 쓰나니 이것을 일러 무위이화라 하느니라. (도전道典 4:58:4)
이 우주는 존재와 변하는 모습에서 바로 생장염장生長斂藏이라는 네 마디 법칙대로 순환 무궁한다는 그런 의미입니다. 생장염장이 전개되면 봄, 여름, 가을, 겨울이 되는 거예요. 우주가 만물을 낳고, 기르고, 거두고, 폐장하여 쉬는 이 네 가지 마디로 순환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법칙은 누가 인위적으로 꾸민 게 아니라 대자연의 법칙입니다. 그래서 이것을 무위이화無爲而化라고 합니다. 천지 우주가 존재하는 법칙이기 때문에 누가 인위적으로 만든다거나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생장염장의 네 가지 법칙을 하루로 보면 아침, 낮, 저녁, 밤. 그다음에 1년으로 보면 봄, 여름, 가을, 겨울. 우주 전체로 나아가서 보면, 우주의 봄, 우주의 여름, 우주의 가을, 우주의 겨울이 되는 겁니다. 즉 우주에 사계절이 있어서 생장염장이 나오는 게 아니고, 우주의 사계절은 생장염장이라는 근원 법칙이 만들어 낸 작품들이에요.
이처럼 우주도 1년 사계절로 변화하는데, 여기서 동서양의 시간관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동서양의 시간관은 크게 직선적 시간관과 순환적 시간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직선적 시간관은 우주의 시간 밀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러시아 출신 과학자들이 이미 그 부분을 밝혀낸 바 있습니다.
알렉산드르 프리드만Alexander Friedmann(1888~1925)이라는 학자가 있는데,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과 거의 동시대 인물입니다. 그는 허블의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우주가 팽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최초로 제기한 사람이었고, 따라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우주의 밀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반면 아인슈타인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그는 우주가 정적靜的이라고 주장했는데, 사실 이는 상대성 이론(Theory of relativity)을 온전히 적용하지 못한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우주가 정적이라고 본 반면, 프리드만은 우주가 초기에는 밀도가 높은 상태로 뭉쳐 있다가 팽창하면서 밀도가 자연스럽게 감소한다고 설명한 것입니다. 그는 또한 우주에 대해 세 가지 모형을 제시했습니다. 첫째, 계속 팽창하는 ‘열린 우주’, 둘째, 팽창이 어느 순간 멈추는 ‘평평한 우주’, 셋째, 팽창하다가 다시 수축하는 ‘닫힌 우주’입니다. 이처럼 프리드만은 현대 우주론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개념들을 내놓았습니다.
이러한 우주 시간대의 과정을 동양의 정신으로 밝힌 분이 바로 중국 북송 시대의 유학자인 소강절邵康節(1011~1077) 선생입니다. 상제님께서도 이를 인정해 주셨습니다.
알음은 강절康節의 지식이 있나니 다 내 비결이니라. (도전道典 2:32:1~2)
도표에 나와 있듯이 하루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천지성공〉을 시청하시려면?
STB 상생방송 홈페이지에서 시청 가능
온 가족이 함께 보면 더 좋은 방송 STB상생방송!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
STB 상생방송 홈페이지에서 시청 가능
온 가족이 함께 보면 더 좋은 방송 STB상생방송!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
©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