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개(9/10페이지)
34.
한사군 설치의 역사적 배경과 설치위치에 대한 인터넷글
2021.07.16,
조회 1142
이태수,
○한사군 설치의 역사적 배경과 설치 위치에 대한 인터넷 글원문: http://www.kma18.org/thought/damul5.html ●한사군(漢四郡) 설치의 역사적 배경▲ 진개(秦開)와 연오군(燕五郡) 설치연대 적 요 BC350 번조선(番朝鮮)이 북막(北漠: 東胡)와 함께 연(燕)의 상곡(上谷)을 쳤다 BC343...
33.
장무이무덤의 벽돌은 고구려관리가 만들어준 것이다
2021.07.16,
조회 1033
이태수,
○ 장무이부덤의 벽돌은 고구려관리가 만들어준 것이다인터넷에 장무이 부덤에서 나온 벽돌에 대한 기사가 있어서 올립니다.http://www.kma18.org/thought/damul5.html ▲장무이전(張撫夷塼)1912년 10월 15일 세끼노가 황해도 사리원역 동남방 1.5Km 지점에서 '漁陽張(어양장)'이란 명문이 있는 벽돌조각을 여러 개 ...
32.
만주원류고의 삼한 위치와 마한 치소인 개평(蓋平)
2021.07.15,
조회 1368
이태수,
○만주원류고의 삼한위치와 마한 치소인 개평(蓋平) 청나라 고종(건륭제)가 청나라를 세운 만주족의 연원에 대하여 역사지리적으로 고찰하라는 명을 내림에 따라 청나라 건륭제 42년에 만들어진 역사지리서가 『흠정 만주원류고』이다. 『만주원류고』에는 삼한(三韓)뿐 아니라 숙신, 부여, 말갈, 신라, 발해 등에 대해서도 많은 기록을 남겼다. 삼한...
31.
요령성 금서시 태집둔에서 발굴된 임둔태수 인장
2021.07.14,
조회 1070
이태수,
○요령성 금서시 태집둔에서 발굴된 임둔태수 인장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2505&key=20080903.23021211227 한민족의 뿌리 - 단군조선을 찾아서 <4> 잠든 임둔군을 깨우다요서땅 `임둔군`은 고조선 유물의 寶庫고조선→위만조선→한나라 한...
30.
대방은 대륙에 존재한 땅이며, 한반도에 있지 않았다
2021.07.14,
조회 900
이태수,
대방은 대륙에 존재한 땅이며, 한반도에 있지 않았다.https://blog.naver.com/nurijar/20021850793대방을 정확히 알아야만 삼국의 위치를 제대로 추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고 동이의 일부였던 AD670년 이전 "왜"의 위치를 제대로 알수 있습니다 관련 지도는 아래편에 별도로 모아 두었습니다다른 좋은 자료들이 있으시...
29.
"점제현신사비는 가짜다"라는 플러스코리아 기사
2021.07.13,
조회 885
이태수,
○“점제현신사비는 가짜다“라는 플러스코리아 기사[단독]북한 '점제현신사비'는 가짜다!미래사적으로 일제의 만행에서 벗어남에도 학계는 왜이러나?플러스코리아 | 기사입력 2009/11/12 [11:18] https://www.pluskorea.net/sub_read.html?uid=13363§ion=section78 본지는 북한 국보급 문화재인 ‘점제현신사비...
28.
영락6년 광개토대왕이 배제에서 빼앗은 50여개 성은 대륙에 있었을 것이다
2021.07.12,
조회 788
이태수,
○영락6년 광개토대왕이 백제에서 빼앗은 50여개 성은 대륙에 있었을 것이다.영락6년(AD 396년) 광개토대왕이 직접 군을 이끌고 아랭 백제의 50여 개 성을 정벌하여 빼앗았는데, 이 50여개의 성은 비좁은 한반도 내에 있는 것이 아니고, 요동이나 요서지방에 있었을 것입니다. 한반도 내에는 50여개의 성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광개토대왕이 백...
27.
둔유(屯有)를 우동어홀로 변개하여 대방황해도설을 만든 이병도
2021.07.12,
조회 982
이태수,
둔유(屯有)를 우동어홀로 변개하여 대방황해도설을 만든 국사매국노 이병도한사군 중에서 대방군(帶方郡)의 위치에 대한 설명은 아마도 이병도의 진번군고(眞番郡考)라는 글이 1929년 사학잡지(史學雜誌) 40-5권에 실린 이후 이병도와 그를 추종하는 자들이 계속 주장하여 현재 한국사통설로 자리매김한 것 같다. ○ 이병도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고 한...
26.
낙랑과 관련된 25개현은 고구려와 수나라의 국경부근에 있었다
2021.07.12,
조회 1119
이태수,
낙랑과 관련된 25개 현은 고구려와 수나라의 국경부근에 있었다. ○전한서 지리지에 낙랑과 관련된 25개현전한서 지리지에 낙랑군에 관련된 25개 현이 있다고 했는데 다음과 같다. 조선(朝鮮), 남함, 패수, 함자(含資), 점제, 수성(遂城), 증지(增地), 대방(帶方), 사방, 해명(해명), 열구, 장잠(長岑), 둔유, 소명, 누방, 제해(...
25.
백제의 대륙존재설, 즉 백제의 요서지방 존재설을 펌했습니다
2021.07.11,
조회 1015
이태수,
백제의 대륙존재설, 즉 백제의 요서지방 존재설에 대한 글을 펌했습니다. 백제의 대륙존재설! 2007. 10. 8. 17:39복사 https://blog.naver.com/audia4man/100042807679 번역하기설득력 더해가는 '삼국의 대륙존재설' 기록에 나타난 고대 천문현상 관측지 추적일반적으로 고대의 사서에는 자연의...
24.
광개토왕능비에 대한 위키백과의 설명을 옮긴다
2021.07.11,
조회 994
이태수,
광개토왕능비에 대한 위키백과의 설명을 옮긴다.https://ko.wikipedia.org/wiki/%EA%B4%91%EA%B0%9C%ED%86%A0%EC%99%95%EB%A6%89%EB%B9%84 광개토왕릉비(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지안 시(集安市) 태왕진(太王鎭, 중국어 간...
23.
미천왕이 빼앗은 낙랑군은 요하부근 지명이며 평양이 아니다
2021.07.11,
조회 877
이태수,
○미천왕이 빼앗은 낙랑군은 요하부근 지명이지 평양이 아니다.미천왕 14년(AD 313년) 미천왕이 빼앗은 낙랑(樂浪)을 왜인(倭人)사학자 및 식민사학자, 한국사매국노들이 평양에 있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 낙랑(樂浪)은 298년 후인 영양왕 2년(AD 611년) 수양제가 고구려 침략을 위해 고구려로 진격하는 길목에 있는데, 수양제의 좌...
22.
미천왕이 빼앗은 대방은 요하부근 지명이지 결코 황해도가 아니다
2021.07.11,
조회 673
이태수,
○미천왕이 빼앗은 대방군은 요하부근 지명이지 결코 황해도가 아니다.미천왕 15년(AD 314년) 미천왕이 빼앗은 대방(帶方)을 식민사학자, 한국사매국노들은 황해도에 있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 대방(帶方)은 297년 후인 영양왕 2년(AD 611년) 수양제가 고구려 침략을 위해 고구려로 진격하는 길목에 있는데, 수양제의 우12군 11번째 ...
21.
미천왕이 빼앗은 낙랑과 대방은 요하부근에 있었다
2021.07.10,
조회 1105
이태수,
○ 미천왕이 빼앗은 낙랑과 대방은 요하부근에 있었다. 15대 미천왕 3년(AD 302) 9월에 왕은 군사 3만 명을 거느리고 현도군을 침범하여 8,000명을 사로잡아 평양으로 옮겼다. 12년(AD 311년)에 장수를 보내어 요동의 서안평을 습격하여 빼앗았다. 14년(AD 313년) 낙랑군을 침범하여 남녀 2천명을 사로잡았다. 15년(AD 314년)에 남쪽의...
20.
수양제가 자복한 갈석과 발해는 어디인가?
2021.07.09,
조회 876
이태수,
수양제가 자복한 갈석과 발해는 어디인가? 수양제 때 고수려가 갈석과 발해를 점령했다고 한 갈석과 발해는 어데인가? 낙랑군(樂浪郡) 수성현(遂城縣)에 위치되어 있다고 중국 사서에 기록된 갈석산(碣石山)은 어데인가? 수양제가 고구려를 침략하기 전에 다음과 같이 자복(自服)하고 있다. 영양왕 22년(AD 611) 수양...
19.
백제,쿠다라는 큰나라, 큰집나라, 종주나라의 뜻이다.
2021.06.25,
조회 913
이태수,
백제, 쿠다라는 큰나라, 큰집나라, 종주나라의 뜻이다. 1980년 나와 만난 일본의 오가와(小川)박사라는 분은 나에게 물었다. “일본에서는 백제(百濟)를 쿠다라(구다라: くだら)라고 하는데, 쿠다라는 한국말로 무슨 뜻을 의미하는 것입니까? 아마도 쿠다라는 한국말에서 왔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한국말의 뜻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먼저 오가...
18.
단군조선조차 인정하지 않는 자들은 한국사매국노가 아닌가?
2021.06.24,
조회 896
이태수,
단군조선조차 인정하지 않는 자들은 한국사매국노가 아닌가? ○ 고조선과 위만조선 고조선(기자조선)의 준왕(準王) 때 한나라 연(燕) 지역에 정치적 혼란이 생기게 되자 연왕 노관의 부하이었던 위만(衛滿)이 1,000여 명의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망명했다. 위만이 서쪽 지방에 살게 해줄 것을 청하자 준왕은 그에게 박사라는 관직을 주고 규...
17.
수양제의 고구려 침략경로 24개 지역은 고구려땅으로 추정된다
2021.06.21,
조회 775
이태수,
수양제의 고구려 침략경로 24개 지역은 고구려 땅으로 추정된다 ○ 수양제의 고구려 침략 영양왕 22년(AD 611) 수양제는 조명을 내리기를 “고구려는 무리가 혼미하고 불공하여 발해와 갈석 사이를 점령해 있고(崇聚), 요동 예맥의 땅을 잠식했으며...글안의 무리와 해변을 지키는 수나라의 사병을 죽이고, 또 말갈의 항복자와 요서를 침범하였다...
16.
이병도의 임둔군 함흥 위치설은 허구이며, 요하부근에 있었다
2021.06.15,
조회 963
이태수,
이병도의 임둔군 함흥 위치설은 허구이며, 요하부근에 있었다. ○ 이병도의 임둔군 함흥 위치설 임둔군의 위치는“반도의 동북해안의 땅으로 지금의 함경남도 전체에 비정하는 이병도(李丙燾)의 주장이다. 즉, 『한서』 무제본기의 4군을 설치한 기사의 끝에 붙인 신질이 인용한 『무릉서』에 “임둔군치 동이현은 장안으로부터 6,138리이다.”라는 ...
15.
평양왕검성은 요하동쪽 현도군 개마현이고 지금의 평양이 아니다
2021.06.13,
조회 970
이태수,
평양왕검성은 요하 동쪽 현도군 개마현이고 지금의 평양이 아니다. ○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평양은 요하 부근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東 沃 沮 在 高 句 驪 蓋 馬 大 山 之 東[一] 東 濱 大 海; 北 與 挹 婁、夫 余, 南 與 濊 貊 接。其 地 東 西, 南 北 長[二] 可折方千里.土肥美,背山向海,宜五穀,善田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