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개(3/5페이지)
44.
평양 지역에서 일본인 손에서만 쏟아진 낙랑계 유물
2021.08.30,
조회 453
이태수,
○평양지역에서 일본인 손에서만 쏟아진 낙랑계 유물https://blog.naver.com/gnbone/221060309495 1920-1930년대 왜인 관야정(關野貞), 금서룡(今西龍) 등에 의해서 우연히 발견된 대발견이라고 하는 ”점제현 신사비, 점제현 치소터, 대방군 태수묘, 대방군 치소, 낙랑군 치소터 등의 발견이 실로 모두 우연히 발...
43.
한국교원대 교수들이 집필한 <아틀라스 한국사>에
2021.08.29,
조회 299
이태수,
https://blog.naver.com/jjs6788/222313008746
42.
왜색 식민사학자들의 한반도내 한사군설이 계속되고 있다
2021.08.28,
조회 657
이태수,
○왜색 식민사학자들의 한반도내 한사군설이 계속되고 있다.지금 한국의 역사는 왜색 식민사학자들의 한반도내 한사군설이 계속되고 있다. 본인 뿐 아니라 많은 분들이 한사군은 갈석산 부근에 낙랑이 있었고, 한편 수양제가 고구려를 침략한 우십이군(右十二郡)의 4번째 루트에 임둔(臨屯)이 분명히 기록되어 있고, 임둔군의 ”임둔태수장“이라는 봉니가 요령성...
41.
이볃도의 임둔군 함흥위치설은 허구이며, 요령성 금서시 태집둔 일대이다
2021.08.26,
조회 529
이태수,
이병도의 임둔군 함흥 위치설은 허구이며, 요령성 금서시 태집둔 일대이다.○ 이병도의 임둔군 함흥 위치설임둔군의 위치는“반도의 동북해안의 땅으로 지금의 함경남도 전체에 비정하는 이병도(李丙燾)의 주장이다. 즉, 『한서』 무제본기의 4군을 설치한 기사의 끝에 붙인 신질이 인용한 『무릉서』에 “임둔군치 동이현은 장안으로부터 6,138리이다.”라는 것에 근거해 동...
40.
삼국사기 동천왕 때 현도,낙랑은 요수 부근, 평양은 개주시 부근이었다
2021.08.15,
조회 464
이태수,
삼국사기 동천왕 떼 현도, 낙랑은 요수 부근, 평양은 개주시 부근이었다. 11대 동천왕 20년(AD 267년)에는 “위(魏)가 유주자사 관구검을 보내 장수 1만 명을 거느리고 현도(*사학자들이 현도를 지금의 무순이라 함은 잘못이다)를 나와 침범하니, 왕은 보기병 2만명을 거느리고 비류수(沸流水) 위에서 역전하여 깨뜨리고 3,000여 명의...
39.
고구려의 속국이었던 중국의 북연과 고구려에 항복한 북연
2021.08.15,
조회 642
이태수,
고구려의 속국이었던 중국의 북연(北燕)과 고구려에 항복한 북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B6%81%EC%97%B0위키백과 내용에 일부 참고자료를 첨부하여 올립니다) 북연(北燕, 407년 ~ 436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때 고구려의 왕족 출신인 고운(모용...
38.
"수.당 백만대군의 격파" 국가 자존심의 원천이라는 중
2021.07.30,
조회 419
이태수,
”수.당 백만대군의 격파“ 국가 자존심의 원천중앙일보 2021. 7. 30자 ‘한명기의 한중일 삼국지’ 기사 내용입니다. 을지문덕의 위대한 업적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4117405
37.
현도군은 요수와 요동성 사이에 있었고, 평북에서 푸순으로 옮겼다는 한국사
2021.07.25,
조회 444
이태수,
현도군은 요수와 요동성 사이에 있었고, 평북에서 푸순으로 옮겼다는 한국사통설은 폐지되야 한다. 한국사통설에는 이마니시류(今西龍)와 이나바이와기치(稻葉岩吉) 등 일본학자들이 주장한 현도군의 위치가 평북산악지대에서 만주 푸순(撫順)으로 이치(移置)되었다는 아직까지 그대로 쓰고 있는데, 이는 정말 잘못된 비정(批定)이어서 반드시 폐기되고 수정되어...
36.
단재 신채호의 조선상고사 소개글을 소개합니다
2021.07.17,
조회 534
이태수,
○단재 신채호의 『조선상고사』 소개글을 소개합니다. 단재의『조선상고사』는 내용이 방대한 책짜입니다. 신채호선생님의 『조선상고사』를 박기봉선생(비봉출판사 간 596page 정가 22,000원)이 쉬운 우리글로 옮긴 책자가 있습니다만 특별히 관심가지신 분 외에는 책자를 구입하기 어려운 형편입니다. 이 책자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한 글이 인터넷에 올려 있어서...
35.
晉書의 대방군과 속현은 수양제 침략경로에 있었고, 황해도가 아니다
2021.07.16,
조회 391
이태수,
晉書의 대방군과 속현은 수양제 침략경로에 있었고, 황해도가 아니다 ○晉書에 나타난 한사군1) 朝鮮조선, 2) 屯有둔유, 3) 渾彌혼미, 4) 遂城수성, 5)鏤方누방, 6) 駟望사망의 6개 현(아마도 樂浪 소속일 것이다)이 있었고 7) 帶方대방군 소속의 현에는 8)列口열구, 9) 長岑장잠, 10) 提奚제해, 11) 含資함자. 12) 冥海명해, 13)呑列탄열...
34.
한사군 설치의 역사적 배경과 설치위치에 대한 인터넷글
2021.07.16,
조회 650
이태수,
○한사군 설치의 역사적 배경과 설치 위치에 대한 인터넷 글원문: http://www.kma18.org/thought/damul5.html ●한사군(漢四郡) 설치의 역사적 배경▲ 진개(秦開)와 연오군(燕五郡) 설치연대 적 요 BC350 번조선(番朝鮮)이 북막(北漠: 東胡)와 함께 연(燕)의 상곡(上谷)을 쳤다 BC343...
33.
장무이무덤의 벽돌은 고구려관리가 만들어준 것이다
2021.07.16,
조회 636
이태수,
○ 장무이부덤의 벽돌은 고구려관리가 만들어준 것이다인터넷에 장무이 부덤에서 나온 벽돌에 대한 기사가 있어서 올립니다.http://www.kma18.org/thought/damul5.html ▲장무이전(張撫夷塼)1912년 10월 15일 세끼노가 황해도 사리원역 동남방 1.5Km 지점에서 '漁陽張(어양장)'이란 명문이 있는 벽돌조각을 여러 개 ...
32.
만주원류고의 삼한 위치와 마한 치소인 개평(蓋平)
2021.07.15,
조회 756
이태수,
○만주원류고의 삼한위치와 마한 치소인 개평(蓋平) 청나라 고종(건륭제)가 청나라를 세운 만주족의 연원에 대하여 역사지리적으로 고찰하라는 명을 내림에 따라 청나라 건륭제 42년에 만들어진 역사지리서가 『흠정 만주원류고』이다. 『만주원류고』에는 삼한(三韓)뿐 아니라 숙신, 부여, 말갈, 신라, 발해 등에 대해서도 많은 기록을 남겼다. 삼한...
31.
요령성 금서시 태집둔에서 발굴된 임둔태수 인장
2021.07.14,
조회 621
이태수,
○요령성 금서시 태집둔에서 발굴된 임둔태수 인장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2505&key=20080903.23021211227 한민족의 뿌리 - 단군조선을 찾아서 <4> 잠든 임둔군을 깨우다요서땅 `임둔군`은 고조선 유물의 寶庫고조선→위만조선→한나라 한...
30.
대방은 대륙에 존재한 땅이며, 한반도에 있지 않았다
2021.07.14,
조회 505
이태수,
대방은 대륙에 존재한 땅이며, 한반도에 있지 않았다.https://blog.naver.com/nurijar/20021850793대방을 정확히 알아야만 삼국의 위치를 제대로 추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고 동이의 일부였던 AD670년 이전 "왜"의 위치를 제대로 알수 있습니다 관련 지도는 아래편에 별도로 모아 두었습니다다른 좋은 자료들이 있으시...
29.
"점제현신사비는 가짜다"라는 플러스코리아 기사
2021.07.13,
조회 497
이태수,
○“점제현신사비는 가짜다“라는 플러스코리아 기사[단독]북한 '점제현신사비'는 가짜다!미래사적으로 일제의 만행에서 벗어남에도 학계는 왜이러나?플러스코리아 | 기사입력 2009/11/12 [11:18] https://www.pluskorea.net/sub_read.html?uid=13363§ion=section78 본지는 북한 국보급 문화재인 ‘점제현신사비...
28.
영락6년 광개토대왕이 배제에서 빼앗은 50여개 성은 대륙에 있었을 것이다
2021.07.12,
조회 415
이태수,
○영락6년 광개토대왕이 백제에서 빼앗은 50여개 성은 대륙에 있었을 것이다.영락6년(AD 396년) 광개토대왕이 직접 군을 이끌고 아랭 백제의 50여 개 성을 정벌하여 빼앗았는데, 이 50여개의 성은 비좁은 한반도 내에 있는 것이 아니고, 요동이나 요서지방에 있었을 것입니다. 한반도 내에는 50여개의 성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광개토대왕이 백...
27.
둔유(屯有)를 우동어홀로 변개하여 대방황해도설을 만든 이병도
2021.07.12,
조회 601
이태수,
둔유(屯有)를 우동어홀로 변개하여 대방황해도설을 만든 국사매국노 이병도한사군 중에서 대방군(帶方郡)의 위치에 대한 설명은 아마도 이병도의 진번군고(眞番郡考)라는 글이 1929년 사학잡지(史學雜誌) 40-5권에 실린 이후 이병도와 그를 추종하는 자들이 계속 주장하여 현재 한국사통설로 자리매김한 것 같다. ○ 이병도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고 한...
26.
낙랑과 관련된 25개현은 고구려와 수나라의 국경부근에 있었다
2021.07.12,
조회 722
이태수,
낙랑과 관련된 25개 현은 고구려와 수나라의 국경부근에 있었다. ○전한서 지리지에 낙랑과 관련된 25개현전한서 지리지에 낙랑군에 관련된 25개 현이 있다고 했는데 다음과 같다. 조선(朝鮮), 남함, 패수, 함자(含資), 점제, 수성(遂城), 증지(增地), 대방(帶方), 사방, 해명(해명), 열구, 장잠(長岑), 둔유, 소명, 누방, 제해(...
25.
백제의 대륙존재설, 즉 백제의 요서지방 존재설을 펌했습니다
2021.07.11,
조회 592
이태수,
백제의 대륙존재설, 즉 백제의 요서지방 존재설에 대한 글을 펌했습니다. 백제의 대륙존재설! 2007. 10. 8. 17:39복사 https://blog.naver.com/audia4man/100042807679 번역하기설득력 더해가는 '삼국의 대륙존재설' 기록에 나타난 고대 천문현상 관측지 추적일반적으로 고대의 사서에는 자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