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B다시보기 | STB 청소년 특강 마음자리 (다산 정약용의 실행리더십과 한국형리더십)

[STB하이라이트]
강의자: 전광수 교수 (경성대학교 창의인재대학 교양학부)

1.다산 정약용의 사상적 배경


다산 정약용 (1762~1836)
조선 후기 실학자이며 위대한 사상가 『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 『여유당전서』 등 500여 권 저술


조선은 두 번의 전란을 거치면서 백성들이 매우 궁핍한 생활을 하였습니다. 정조 대왕의 승하 후 순조, 헌종, 철종 3대 60여 년간 세도정치가 펼쳐지게 됩니다. 이 기간 세도 가문과 결탁한 과거 급제가 남발하게 되고 돈을 받고 벼슬을 파는 매관매직이 성행합니다. 이런 조선의 현실이 다산 정약용의 개혁 정치의 이유가 된 것입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은 신유사옥으로 18년간 유배 생활을 하고, 유배지 강진에서 500여 권의 방대한 책을 저술하게 됩니다. 목민심서는 목민관(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을 밝히면서 관리들의 폭정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내용은 12편이며, 각 편당 6조씩 구성이 되어 총 72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흠흠(欽欽)신서는 형벌과 옥사를 다룬 내용으로 흠흠(欽欽)은 걱정이 되어 잊지 못하는 모양을 말합니다. 죄수에 대하여 신중히 심의하라는 흠휼 사항에 입각하여 법률을 근거로 재판하라는 의미입니다. 즉 목민관은 하늘의 권한을 대신해서 백성들을 다스리는 것이 목민관이기에 특히 생명과 같이 중요한 부분을 다루는 가치 판단에 있어 삼가고 삼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2. 다산의 사상



- 바른 몸가짐으로 학문하여
- 백성을 사랑하고 나라를 근심하라
- 시대를 아파하고 세속의 잘못에 분개하라


◎인격 수양으로 시작하는 학문
경학을 근본으로 하고 경세학으로 그 실현 방법을 제시.

◎성리학 비판, 유학 본래의 정신으로 돌아가자(원시유학)
관념화된 성리학은 더 이상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없으므로 유학의 본래 정신으로 돌아가자

◎다산의 경학
실행과 실천이 가능한 실학적 사고로 새로운 경전 해석을 시도

◎경세학, 사회 전반에 걸친 개혁 사상
새로운 학문을 자신의 독창적 학문 체계에 융화시켰고 당시 사회 현실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의식을 반영. 또한 개혁의 불가피성을 강조.

◎백성이 근본이다.
민民을 근본으로 여기는 자세, 민民에 대한 애정이 바탕이 됨.

흠흠신서 序(서문)
惟天生人而又死之(유천생인이우사지)
: 오직 하늘만이 사람을 살리고 또 죽이는 것이니

人名繫乎天(인명계호천)
: 인명은 하늘에 매여 있는 것이다

迺司牧 又以其間(내사목 우이기간)
: 그런데 사목이 또 그 중간에서

安其善良而生之(안기설량이생지)
: 선량한 사람은 편안히 살게 해 주고

執有罪者而死之(집유죄자이사지)
: 죄 있는 사람은 잡아다 죽이는 것이니

是顯見天權耳(시현현천권이)
: 이는 하늘의 권한을 드러내 보이는 것일 뿐이다.

人代操天權(인대조천권)
: 사람이 하늘의 권한을 대신 쥐고서도

罔知兢畏(망지긍외)
: 삼가고 두려워할 줄 몰라

不剖毫析芒(불부호석망)
: 털끝도 갈라 보고 가시랭이라도 쪼개 보지 아니하고

迺漫迺昏(내만내혼)
: 곧 흐트러지고 곧 어두워져서

或生而致死之(혹생이치사지)
: 혹 살려야 하는 사람을 죽이고

亦死而致生之(역사이치생지)
: 또 죽여야 하는 사람을 살려 놓고

尙恬焉安焉(상념언안언)
: 오히려 어찌 편안하게 살 수 있단 말인가